티스토리 뷰

유용한 정보

5G 안터짐 [⚡SKT 5G 커버리지맵]

대치연구소 2020. 12. 4. 11:44


5세대 통신기술 5G

2019년 4월 5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가 된 이후,

국내에도 빠른 속도로 도입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었음에도

기존의 4G 와의 성능이나 속도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기대만큼 소비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이동통신 3사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가입자의 수를 늘리고는 있으나

'5G 안터짐' 문제 등의 해결해야 할

여러가지 숙제를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요.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지를 위해

이통 3사 중 SKT 커버리지맵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SKT 5G

 

 

SK텔레콤 5G는 2019년 4월 5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세대 통신 기술입니다. 5G는 새로운 세대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발전한 네트워크 기술로, LTE/LTE-A 보다 속도가 빠르고 지연 시간이 짧습니다. 

 

현재 SK텔레콤의 5G는 LTE보다 빠른 속도(최대 2.7 Gbps)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도로 상황·차량 위치 등 많은 정보를 끊김 없이 주고 받아야 하는 자율주행, 360도 모든 방향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VR 생중계 등이 5G 기술로 인해 가능 해집니다. 

 

또한 컴퓨터 사양과 상관 없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 고사양의 게임을 즐기는 것도 5G가 있어야 가능한 기술입니다.

 

 

 

 

커버리지 맵이란?

 

커버리지 맵(Coverage Map)이란 서비스별 이용 가능 지역을 나타낸 지도입니다. 커버리지 맵을 통해 5G, LTE, WCDMA, Wi-Fi, 초고속인터넷 (SK브로드밴드) 등 SK텔레콤의 유무선 서비스 이용 가능 여부를 위치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지국 시설의 위치를 기준으로 실외 공간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표시합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네트워크 및 이용자 상황, 업데이트 시점 등에 따라 실제 서비스와 조금 다를 수 있으며, 전파 특성과 통신 환경 때문에 건물 안의 커버리지 현황은 제공이 힘들다고 합니다.

 

 

SK텔레콤 커버리지 정보 제공 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커버리지 정보를 예측, 제공하고 있습니다.

- 기지국 위치기반 /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커버리지 예측
- 도로 측정 데이터를 활용한 커버리지 정보 정확도 보정

 

 

 


 

 

SK텔레콤 커버리지 정보 제공 사이트는 방문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정보를 최대한 사실에 기초하여 예측,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실외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를 예측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지형환경 및 망 운용 상태, 사용자와 단말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내부는 전파 감쇄 및 내부 구조에 따라 상이하여 정확한 정보 제공이 어렵습니다.

 

 

격자 지도 방식 커버리지 정보
- 5G, LTE, WCDMA 서비스의 경우, 전국을 75m X 75m 정사각형 격자로 세분화 한 뒤 각각의 격자에서 서비스 가능한 커버리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점 정보 방식 커버리지 정보
- Wi-Fi 및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실제 서비스 가능 지역에 대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에 서비스 가능 지역을 점 단위로 표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커버리지 맵 - LTE vs 5G

 

SKT LTE 커버리지 맵

 

LTE 커버리지 맵을 보면

서쪽의 백령도부터 동쪽의 독도, 남쪽의 제주도까지

대한민국 전 지역을 커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KT 5G 커버리지 맵

5G 커버리지 맵을 보면

서울특별시와 주요 광역시는 커버를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는 아직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G - 실내 vs 실외 속도비교

 


5G 가 구현하는 초고속 / 초연결 / 초지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센서,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보급화되어 생활 전반이 편리해지고 있기 때문에

분명 필요한 기술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지요.

 

다만, LTE와 같이 완전한 상용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및 비용 절감 등의 추가 검토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은

커버리지 영역의 확인을 통해

비용을 지불하고도 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