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4일 개회식을 통해 '눈과 얼음의 대축제'의 시작을 알립니다.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를 대회 슬로건으로 정한 이번 대회에는 91개 나라, 2천900여 명의 선수들이 출전해 2월 20일까지 7개 종목 109개의 금메달을 놓고 실력을 겨루게 됩니다. 17일 동안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 주요 일정 및 중계 시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핵심정리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은 한국시간으로 2월 4일 밤 9시,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국가체육장)에서 진행됩니다.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개회식도 이곳에서 열렸으며 중국 베이징은 전 세계를 통틀어 동·하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최초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시작된 2020년 초 이후 두 번째로 열리는 올림픽이며, 지난해 도쿄 올림픽은 예정보다 1년 늦게 치러진 반면 올해 베이징 동계 대회는 원래 계획했던 날짜대로 진행됩니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경기일정 바로가기]

 

 

 

 

BEIJING 2022 : 네이버스포츠

가슴 뜨거운 겨울 드라마 네이버 스포츠 베이징 올림픽

m.sports.naver.com

 

 

대한민국 선수단은 나라 이름 중국어 표기 첫 글자의 간체자 획수 기준에 따라 91개 참가국 가운데 73번째로 입장합니다.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개·폐회식이 열리는 베이징 국립경기장처럼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때 사용했던 경기장이 활용됩니다.

 

베이징 국립경기장 외에도 2008년 수영 경기장이었던 국립 아쿠아틱 센터는 이번엔 컬링 경기장으로 바뀌었고, 체조와 핸드볼이 열린 베이징 국립 실내경기장은 아이스하키 경기장이 되었습니다.

 

또 농구가 열렸던 우커송 스포츠 센터에서도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리고, 2008년 테니스 경기가 진행된 장소는 국립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으로 바뀌었습니다.

 

 

[MBC 온에어 바로가기]

 

 

 

 

 

iMBC 온에어

GO! MBC

onair.imbc.com

 

나머지 경기장은 모두 실외 경기장이기 때문에 실내 종목 경기는 모두 2008년 하계 올림픽이 열린 장소에서 진행됩니다.

 

경기 장소는 크게 베이징, 옌칭, 허베이성 장자커우로 나뉘는데 베이징에서는 빙상, 옌칭은 썰매와 알파인 스키, 장자커우에서는 알파인 스키를 제외한 나머지 스키 종목이 펼쳐집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한국 선수는 억대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메달리스트들은 정부와 종목별 협회에서 책정한 포상금이 지급되며 특히 일부 종목에서는 메달리스트 외에 상위권 선수들에게도 포상금 지급 기준을 마련해 선수들의 사기를 북돋고 있습니다.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에게 6300만원, 은메달 3500만원, 동메달 2500만원의 포상금을 각각 지급합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그리고 지난해 도쿄올림픽 때와 같은 액수이며 단체전은 금메달 4725만원 등 개인전의 75%에 해당하는 금액을 책정했습니다.

 

여기에 종목별 협회 포상금은 별도로 지급됩니다. 대한스키협회는 금메달 3억원, 은메달 2억원, 동메달 1억원의 포상금을 걸었고 메달을 따지 못한 4~6위 선수에게도 포상금을 지급하는 데 4위 5000만원, 5위 3000만원, 6위 1000만원을 주기로 했습니다.

 

 

[KBS 온에어 바로가기]

 

 

 

 

KBS

대한민국 대표 공영미디어 KBS

www.kbs.co.kr

 

한국 스키 대표팀은 2018년 평창 대회에서 스노보드 알파인 종목에 출전한 이상호가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번 대회에선 금메달을 노리고 있습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개인 종목 금메달리스트에 1억원, 은메달 5000만원, 동메달 3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평창 올림픽 때는 금메달 5000만원, 은메달 2000만원, 동메달 1000만원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단체전 메달리스트들에도 포상금을 차등 지급하고, 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와 지원 인력들에도 격려금을 줄 예정입니다.

 

의정부시청은 소속 빙상팀의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선수를 위한 별도의 포상금 계획을 밝히고 금메달 3000만원, 은메달 2000만원, 동메달 1000만원을 지급합니다. 남자 500m와 1000m에 출전하는 차민규와 김민선(여자 500m, 1000m), 정재원(매스스타트, 팀추월)이 의정부시청 빙상팀 소속입니다.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은 총 2억원에서 메달 색깔에 따라 포상금을 차등 지급합니다.

 

한국의 포상금은 미국과 일본보다 많습니다. 미국은 금메달리스트에 3만7500달러(약 4500만원), 일본은 500만엔(약 52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며 일본은 개인전과 단체전 메달리스트 포상금이 같습니다.

 

 

[SBS 온에어 바로가기]

 

 

 

 

SBS : 함께 만드는 기쁨

SBS에서만 즐기는 8만여편의 무료 VOD와 실시간 무료 LIVE!

www.sbs.co.kr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무료 생중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지상파 3사를 비롯한 OTT 서비스, 포털 등 온라인에서 생중계가 활발하게 이뤄집니다. 전통적인 스포츠 콘텐츠인 올림픽이 OTT와 같은 뉴미디어 중심으로 전달되는 본격적인 시대가 될 전망입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특별관을 꾸리는 등 웨이브, 네이버 스포츠 페이지, LG유플러스 U+모바일tv, 아프리카TV 등이 올림픽 생중계에 나섭니다.

 

OTT 업계는 지난해 도쿄 하계올림픽 생중계에 이어 올해도 지상파로부터 온라인 중계권을 확보해 각 사 색깔에 맞게 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이용자들에게는 즐길 수 있는 풍성한 콘텐츠를, 신규 유입자에게는 해당 플랫폼에 대한 경험을 각각 제공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웨이브는 지상파방송 3사와 올림픽 개막 하루 전인 3일 특별관을 선보입니다. 생중계와 함께 스포츠 소대 영상 콘텐츠를 한데 모은 것입니다.

 

지상파 방송의 생중계와 주요 경기 다시보기,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고 올림픽 출전 선수가 출연한 방송 프로그램과 스포츠 소재 영화를 한 곳에서 볼 수 있게 한다는 전략입니다.

 

 

[웨이브(WAVVE) 바로가기]

 

 

 

 

웨이브(wavve)

웨이브 (wavve) 재미의 파도를타다!

www.wavve.com

 

 

주요 스포츠 이벤트마다 특집 페이지를 꾸려온 네이버는 경기 생중계와 다시보기 외에도 주요 경기 소식과 종목별 이슈를 제공하며 또한 생중계 중 댓글로 실시간 응원을 할 수 있는 라이브톡 서비스도 마련했습니다. 특히 국가대표팀 선수 전원을 소개하는 공간을 마련해 올림픽 개막 전부터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올림픽 생중계, 주요 경기 VOD, 하이라이트 영상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올림픽·스포츠 관련 콘텐츠를 한 번에 모아볼 수 있는 코너도 신설, 차별화할 예정입니다. 또 웨이브는 올림픽 출전 선수가 출연한 방송 프로그램, 스포츠 영화, 드라마, 예능을 함께 제공해 이용자들이 올림픽의 감동·여운을 좀 더 풍성하게 즐길 수 있게 할 예정입니다.

 

아프리카TV는 플랫폼 특성을 살려 지상파 생중계와 함께 BJ(개인방송 진행자)의 ‘편파 중계’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게임 방송으로 유명한 BJ ‘감스트’ 등이 지난 도쿄올림픽에서 한국 축구를 직설적으로 평가하는 콘텐츠로 큰 호응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1인 미디어플랫폼을 통해 BJ와 유저가 서로 소통하며 함께 응원하는 중계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베이징올림픽까지 4회 연속 중계권을 확보하게 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아프리카TV 바로가기]

 

 

 

 

2022 베이징올림픽 | 아프리카TV 스포츠

올림픽LIVE 참여인원순 최신방송순

sports.afreecatv.com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를 통해 지상파 생중계를 제공하며 주요 경기 다시보기도 지원합니다.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생중계, 하이라이트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앱 마켓에서 LG유플러스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U+모바일tv’를 내려 받으면 통신사와 관계 없이 누구나 올림픽을 모바일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에 ‘베이징 올림픽 특집관’을 신설했습니다. 이곳에서 경기 중계를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채널을 한데 모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용자는 지상파 4개 채널(KBS1·KBS2·MBC·SBS)의 중계 편성 시간에 맞춰 경기를 관람할 수 있게 되며 실시간 경기를 놓친 경우 ‘하이라이트’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U+ 모바일tv 바로가기]

 

 

 

 

U+모바일tv-실시간TV,TV다시보기,최신영화 - Google Play 앱

지상파 컨텐츠가 들어 왔어요! 기본월정액 고객은 지상파 다시보기 무료 시청 가능(방송기준4주후~)유료 상품 구매 시 별도의 요금이 청구됩니다.

play.google.com

 

올림픽은 짧은 기간 이뤄지는 스포츠 이벤트고, 중계권 권리도 비싼 편에 속함에도 소포츠 콘텐츠가 가진 경쟁력과 국가대표팀이라는 파급력 때문에 뉴미디어 영역에서 놓칠 수 없는 기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네이버 스포츠는 베이징 동계 올림픽 생중계, 주요 경기 다시보기(VOD) 서비스뿐 아니라 특집 페이지도 운영하며 특집 페이지에서는 주요 경기 소식과 각 종목별 이슈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합니다. 생중계 시청 중 실시간으로 응원할 수 있는 라이브톡 기능을 지원하는가 하면,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전원을 소개한 공간을 마련해 각 선수를 응원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는 도쿄올림픽에서도 호평을 받았던 서비스라고 네이버 측은 밝혔습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미 도쿄올림픽에서 결과보다 과정을, 메달보다 선수의 스토리에 열광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1980~2004년생)의 새로운 응원문화를 확인했다라면서 이에 발맞춰 베이징올림픽에서 땀 흘리고 있는 우리 국가대표 선수단에게 응원의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중계를 기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이버 스포츠 바로가기]

 

 

 

 

BEIJING 2022 : 네이버스포츠

가슴 뜨거운 겨울 드라마 네이버 스포츠 베이징 올림픽

m.sports.naver.com

 

OTT 관계자는 주요 오리지널 투자 콘텐츠 시리즈 외에도 스포츠 콘텐츠로 인한 신규 OTT 이용자 유입률이 3분의 1에 가깝기 때문에 올림픽 특수를 놓치기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올림픽 주요 일정

 

댓글